스위스 기독교민주인민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위스 기독교민주인민당은 1912년 창당된 스위스의 정당으로, 2021년 스위스 보수 민주당과 합병하여 중앙당으로 발전적으로 해산되었다. 중도주의를 표방하며 사회적 시장 경제를 지지했고, 수출 산업, 교육, 사회 보장 등의 정책을 추진했다. 1950년대 전성기를 누렸으나, 1990년대 이후 우익 포퓰리즘 정당으로의 지지층 이탈과 당내 결속력 약화로 득표율이 감소했다. 2003년 이후 연방 의회에서 의석을 잃었고, 2020년 합당을 결정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2년 설립된 정당 - 진보당 (1912년 미국)
진보당 (1912년 미국)은 시어도어 루스벨트가 공화당을 탈당하여 창당한 정당으로, 1912년 대통령 선거에서 2위를 기록했으며 사회, 경제, 정치 개혁을 주장하다가 쇠퇴하여 공화당에 흡수되었다. - 1912년 설립된 정당 - 중국동맹회
중국동맹회는 1905년 쑨원이 결성한 혁명 단체로, 청나라를 타도하고 중화민국을 수립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으며, 삼민주의를 통해 중국 근대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가톨릭 정당 - 팔랑헤당
팔랑헤당은 1933년 스페인에서 설립된 극우 정당으로, 스페인 내전 기간 동안 국가주의 세력의 주요 구성원이었으며, 프랑코 정권 수립 후 일당 체제 구축에 기여했으나 폭력적인 행태와 프랑코 독재 협력으로 논란과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고, 일부 극우 성향 단체들이 이념을 추종하는 경향을 보이는 한국 사회에서도 논의되고 있다. - 가톨릭 정당 - 전통주의 팔랑헤당
전통주의 팔랑헤당은 호세 안토니오 프리모 데 리베라가 창설한 스페인 팔랑헤당에서 파생된 파시즘 성향의 정치 세력으로, 스페인 내전 시기 국민파에 가담하고 프랑코 정권 하에서 핵심 역할을 수행했으나, 후에 세력이 쇠퇴했다. - 스위스의 정당 - 스위스 녹색자유당
스위스 녹색자유당은 환경 보호와 경제 자유주의를 결합한 이념을 추구하며, 진보적인 사회 정책과 EU 관계 강화 등의 대외 정책을 통해 스위스 정계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는 정당이다. - 스위스의 정당 - 스위스 노동당
스위스 노동당은 1944년 스위스 공산당의 후신으로 창당되어 레옹 니콜이 초대 대표를 맡은 스위스의 공산주의 정당으로, 유럽 좌파당의 회원 정당이며 프랑스어권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인다.
스위스 기독교민주인민당 - [정당]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스위스 기독교민주인민당 |
원어 이름 | Christlichdemokratische Volkspartei Parti Démocrate-Chrétien Partito Popolare Democratico Partida Cristiandemocratica |
창당일 | 1912년 4월 22일 |
해산일 | 2020년 12월 31일 |
합병 대상 | 중앙당 |
본부 | 베른 |
청년 조직 | Young CVP |
당원 수 | 100,000명 |
당원 수 기준 년도 | 2015년 |
이념 | 기독교 민주주의 |
정치 성향 | 중도 ~ 중도우파 |
국제 정당 | 중도민주주의 인터내셔널 |
유럽 정당 | 유럽 인민당 (준회원) |
상징색 | 주황 |
웹사이트 | 스위스 기독교민주인민당 공식 웹사이트 |
지도부 | |
부통령 | 이다 글란츠만 샤를 쥐이야르 |
사무총장 | 지안나 루치오 |
연방평의회 의원 | 비올라 암헤르트 |
의회 의석 | |
국민의회 | 25 / 200석 |
전주의회 | 13 / 46석 |
연방평의회 | 1 / 7석 |
칸톤의회 | 435 / 2609석 |
2. 역사
스위스 기독교민주인민당의 전신은 1912년 창당된 스위스 가톨릭 보수당(Katholisch-Konservative Partei der Schweiz)이다. 1919년부터 연방 내각 의석 7석 중 2석을 차지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냉전 시기 정치 환경 속에서 당은 1950년대에 전성기를 맞이하여 연방 의회 내 최대 의원단을 구성하고 1954년부터 1958년까지는 내각 의석 3석을 차지하기도 했다.
1957년 당명을 보수 기독교 사회 인민당(Konservativ-Christlichsoziale Volkspartei)으로 변경했고, 1970년에는 '스위스 기독교민주인민당'으로 다시 변경했다. 그러나 이후 수십 년간 전통적 지지 기반이었던 가톨릭 유권자층이 약화되면서 당세가 점차 약화되었다. 특히 1980년대 이후 연방 선거에서 연이어 의석을 잃었다.
1990년대부터는 당의 전통적 지지 기반이던 보수 성향 유권자들이 우익 포퓰리즘을 표방하는 스위스 국민당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두드러지면서 지지율 하락세가 가속화되었다.[11] 1995년 16.8%였던 득표율은 2019년에는 11.4%까지 감소했다.[11] 2003년 선거 이후에는 연방 내각 의석마저 스위스 국민당에 내주면서 1석으로 줄어들었다.[12]
이러한 상황 속에서 2020년, 당 대표 게르하르트 피스터는 스위스 보수 민주당(BDP)과의 합당을 추진했다.[13][14] 같은 해 11월 전당 투표를 통해 합당이 승인되었고,[16][17][18][19] 2021년 1월 1일부로 스위스 보수 민주당과 공식적으로 합당하여 중앙당(Die Mitte)으로 새롭게 출범하며 기존의 당은 해산되었다.
2. 1. 창당 초기 (1912년 ~ 1950년대)
1912년 '스위스 가톨릭 보수당'(Katholisch-Konservative Partei der Schweizde)이라는 이름으로 창당되었다. 1919년부터 연방 내각 의석 7석 중 2석을 차지했다.제2차 세계대전 이후 냉전 시대의 정치적 분위기 속에서 당은 1950년대에 전성기를 맞이했다. 이 시기 연방 의회에서 가장 큰 규모의 의원단을 구성했으며, 1954년부터 1958년까지는 연방 내각 의석 7석 중 3석을 차지하며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1957년에는 당명을 '보수 기독교 사회 인민당'(Konservativ-Christlichsoziale Volksparteide)으로 변경했다.
2. 2. 당명 변경과 변화 (1957년 ~ 1990년대)
1957년, 당명을 '보수 기독교 사회 인민당'(Konservativ-Christlichsoziale Volksparteideu)으로 변경했다. 이후 1970년에는 현재의 당명인 '스위스 기독교민주인민당'으로 다시 한번 당명을 바꾸었다.1970년대에 들어 가톨릭 신자 수가 감소하는 추세였음에도 불구하고, 당은 비교적 안정적인 지지 기반을 유지했다. 그러나 1980년대에 접어들면서 상황이 변하기 시작했다. 가톨릭 유권자 기반이 점차 약화되고 당 소속 정치인들의 결속력도 약해지면서, 1980년 이후 연방 선거에서 6번 연속으로 의석을 잃는 결과를 맞이했다.
1990년대부터는 새로운 도전 과제에 직면했다. 전통적으로 당의 지지 기반이었던 보수 성향 유권자들이 우익 포퓰리즘을 내세운 스위스 국민당으로 점차 이탈하는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11]
2. 3. 합당과 해산 (2000년대 ~ 2021년)
1990년대부터 스위스 기독교민주인민당(CVP)의 전통적인 지지 기반이었던 보수 성향 유권자들이 우익 포퓰리즘 정당인 스위스 국민당(SVP)으로 이동하면서 당세가 약화되기 시작했다. 1995년 선거에서 16.8%였던 CVP의 득표율은 2019년 선거에서는 11.4%까지 하락했다.[11]특히 2003년 선거 이후에는 CVP 소속의 루트 메츨러가 스위스 국민당의 크리스토프 블로허에게 스위스 연방 의회 의석을 내주면서, CVP는 국가 행정부에서 단 한 석만을 보유하게 되는 상황에 이르렀다.[12]
이러한 상황 속에서 2020년, CVP 당 대표 게르하르트 피스터와 스위스 보수 민주당(BDP) 대표 마르틴 란돌트는 양당 간의 합당을 지속적으로 논의했다.[13][14] 같은 해 피스터는 BDP와의 합병을 추진하며, 스위스 의회 내 중도우파 교섭단체의 명칭이기도 했던 '중앙당'(Die Mitte|디 미테de)으로 당명을 변경할 것을 제안했다.[15] 이 합병안은 2020년 11월에 열린 전당 투표를 통해 최종 승인되었다.[16][17][18][19]
2021년 1월 1일, 스위스 기독교민주인민당은 스위스 보수 민주당과 공식적으로 합당하여 중앙당(Die Mitte)으로 새롭게 출범하였고, 기존의 당은 발전적으로 해산되었다.
3. 이념 및 정책
스위스 기독교민주인민당(CVP)은 당 강령에서 스스로를 중도 정당으로 규정하고, 자유 시장 경제와 사회 정의 사이의 균형을 추구하는 사회시장경제 육성을 목표로 삼았다. 프로테스탄트가 우세한 주에서는 비교적 중도적인 정책을 추진했으나, 전통적 지지 기반인 중부 스위스와 발레주 등 가톨릭 우세 지역에서는 유권자 성향에 따라 사회적으로 보수적인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 주요 정책 방향은 경제 성장과 사회 복지의 조화, 가족 지원, 안정적인 사회 보장 시스템 유지 등에 중점을 두었다.
3. 1. 기본 입장
스위스 기독교민주인민당(CVP)은 당 강령에서 스스로를 중도 정당으로 규정했다. CVP는 자유 시장 경제와 사회 정의 사이의 균형을 추구하는 사회시장경제 모델을 지지했다. 스위스 내 프로테스탄트가 우세한 주에서는 다소 중도적인 정책을 펼쳤으나, 전통적인 지지 기반인 가톨릭 우세 지역(중부 스위스, 발레 주 등)에서는 상대적으로 사회적으로 보수적인 입장을 견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해당 지역 유권자들의 성향을 반영한 것이다.CVP의 주요 정책 방향은 다음과 같다.
- 경제: 사회시장경제 원칙에 따라 수출 산업 지원, 교육 및 연구개발(R&D) 투자 확대를 주장했다. 동시에 지하경제 양성화와 탈세 방지를 추구했다. 행정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관료주의 축소와 정부 조직 간소화를 요구했으며, 가족 기업 및 직업 교육/인턴십 제공 기업에 대한 세금 감면을 지지했다. 또한 성 평등 가치에 기반하여 남녀 간 동일 임금과 동등한 고용 기회를 강조했다.
- 노동 및 생활: 일과 삶의 균형을 위해 유연근무제 도입, 보육 시설 확충, 저렴한 주택 공급 확대를 요구했다.
- 사회 보장: 안정적인 사회 보장 시스템 유지를 목표로 했다. 이를 위해 담배세 등 특정 상품에 대한 세금 인상을 통해 연금 재정을 확보하고, 정년 65세 유지를 주장했다. 공공의료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여 의료 서비스 대기 시간을 줄여야 한다고 보았다. 실업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근로 연계 복지인 워크페어(Workfare) 제도를 적극 활용할 것을 제안했다.
3. 2. 주요 정책
스위스 기독교민주인민당(CVP)은 당 강령에서 스스로를 중도 정당으로 규정하며, 자유 시장 경제와 사회 정의 사이의 균형을 추구하는 사회시장경제 육성을 목표로 삼았다. 이러한 중도적 정책 노선은 프로테스탄트가 우세한 주에서 당세를 확장하는 데 기여했지만, 전통적인 지지 기반인 중부 스위스와 발레주 등 가톨릭 우세 지역에서는 사회적으로 보수적인 유권자들의 지지를 받는 경향이 있었다.CVP는 정치적 중도 노선에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주요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 경제 정책: 사회시장경제를 지지했다. 수출 산업과 교육, 연구 개발 분야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암시장 거래와 탈세를 방지하는 데 주력했다. 행정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관료주의를 축소하고 정부 기관을 간소화하며, 가족 기업이나 직업 교육 및 인턴십을 제공하는 기업에 대해서는 낮은 세율을 적용할 것을 주장했다. 또한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동등한 임금과 고용 기회를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가족 정책: 유연한 근무 시간 제도를 도입하고, 보육 시설을 확충하며, 저렴한 주택 공급을 늘릴 것을 요구했다.
- 사회 복지 정책: 안정적인 사회 보장 시스템 유지를 목표로 삼았다. 이를 위해 담배세 인상과 같이 특정 상품에 대한 세금을 올려 연금 기금 재원을 확보하는 방식의 사회 보장 제도 개혁을 주장했다. 현행 65세 정년은 유지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공공 의료 시스템에 대해서는 의료 서비스 대기 시간을 줄이는 등 효율성을 높여 공정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실업 문제 해결을 위한 주요 수단으로 워크페어 제도를 적극적으로 장려했다.
4. 역대 선거 결과
스위스 가톨릭 보수당으로 1912년 창당된 기독교민주인민당(CVP)은 1919년부터 연방 이사회 의석 7석 중 2석을 꾸준히 확보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정치적 환경 속에서 1950년대에 전성기를 맞이하여 스위스 연방 의회 내 최대 의원단을 구성했으며, 1954년부터 1958년까지는 연방 이사회 의석 3석을 차지하기도 했다. 그러나 1959년 '매직 포뮬러'가 도입되면서 다시 2석으로 줄어들었다. 당명은 1957년 보수 기독교 사회 인민당(Konservativ-Christlichsoziale Volksparteide)으로, 1970년에는 기독교민주인민당(CVP)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수십 년간 전통적인 가톨릭 지지 기반이 약화되면서 당의 영향력은 점차 감소했다. 특히 1980년대 이후 연방 선거에서 연이어 패배했으며, 1990년대부터는 CVP의 전통적 강세 지역의 보수 성향 유권자들이 우익 포퓰리즘 성향의 스위스 국민당(SVP)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로 인해 CVP의 득표율은 1995년부터 2019년까지 지속적으로 하락했다.[11]
2003년 선거 이후, CVP는 연방 이사회 의석 2석 중 1석을 스위스 국민당에게 내주면서 행정부 내 영향력이 크게 축소되었다.[12] 당시 스위스 참주회의(상원)에서는 여전히 최대 정당 지위를 유지했으나, 전반적인 득표율은 약 12%대에 머물렀다. 2005년 기준으로 CVP는 스위스 주정부 의석의 20.7%, 주 의회 의석의 16.7%를 점유했다.
2007년 선거에서는 득표율과 의석 수가 소폭 증가하며 장기간 이어지던 하락세를 잠시 멈추기도 했으나,[22] 이후 선거에서 다시 지지율 하락과 의석 감소를 겪었다.
계속되는 지지율 하락에 대응하기 위해 2020년, CVP는 스위스 보수 민주당(BDP)과의 합병을 추진하여 당명을 중앙당(Die Mitte)으로 변경하고 중도우파 세력의 결집을 시도했다.[13][14][15][16][17][18][19][20] 이 합병으로 기독교민주인민당(CVP)이라는 이름의 독자적인 선거 역사는 마무리되었다.
4. 1. 국민의회 (하원)
스위스 기독교민주인민당(CVP)은 스위스 국민의회(하원)에서 1990년대 이후 지지 기반이 약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전통적 강세 지역의 보수 성향 유권자들이 우익 포퓰리즘 정당인 스위스 국민당으로 이동하면서 1995년 선거에서 16.8%였던 득표율은 2019년 선거에서 11.4%까지 감소했다.[11]2003년 선거에서는 14.4%의 득표율로 국민의회 200석 중 28석을 확보했으나, 스위스 연방 이사회의 의석 하나를 스위스 국민당에게 내주며 행정부 내 영향력이 축소되었다.[12] 당시 스위스 참주회의(상원)에서는 46석 중 15석을 차지하여 최대 정당 지위를 유지했다.
2007년 선거에서는 14.6%의 득표율과 국민의회 31석을 획득하며 이전 선거 대비 3석을 늘렸다.[22] 이는 CVP의 장기간에 걸친 의석 감소 추세를 멈추게 한 결과였다. 2019년 선거에서는 11.4%의 득표율로 25석을 확보하여 다시 의석 수가 감소했다.
스위스 연방 의회 내에서는 기독교 민주당/EPP/glp 그룹에 속하여 스위스 복음주의 인민당, 스위스 녹색자유당과 함께 활동했다.[23]


아래는 역대 스위스 연방 선거에서의 기독교민주인민당 국민의회 선거 결과이다.
선거 | 득표수 | % | 의석수 | 증감 |
---|---|---|---|---|
1914년 | 71,668 | 21.1 (#2) | 37 | |
1917년 | 84,784 | 16.4 (#3) | 42 | +5 |
1919년 | 156,702 | 21.0 (#3) | 41 | -1 |
1922년 | 153,836 | 20.9 (#3) | 44 | +3 |
1925년 | 155,467 | 20.9 (#3) | 42 | -2 |
1928년 | 172,516 | 21.4 (#3) | 46 | +4 |
1931년 | 184,602 | 21.4 (#3) | 44 | -2 |
1935년 | 185,052 | 20.3 (#3) | 42 | -2 |
1939년 | 105,018 | 17.0 (#3) | 43 | +1 |
1943년 | 182,916 | 20.8 (#3) | 43 | 0 |
1947년 | 203,202 | 21.2 (#3) | 44 | +1 |
1951년 | 216,616 | 22.5 (#3) | 48 | +4 |
1955년 | 226,122 | 23.2 (#3) | 47 | -1 |
1959년 | 229,088 | 23.3 (#3) | 47 | 0 |
1963년 | 225,160 | 23.4 (#3) | 48 | +1 |
1967년 | 219,184 | 22.1 (#3) | 45 | -3 |
1971년 | 407,225 | 20.4 (#3) | 44 | -1 |
1975년 | 407,286 | 21.1 (#3) | 46 | +2 |
1979년 | 390,281 | 21.3 (#3) | 44 | -2 |
1983년 | 396,281 | 20.2 (#3) | 42 | -2 |
1987년 | 378,822 | 19.6 (#2) | 42 | 0 |
1991년 | 367,928 | 18.0 (#3) | 35 | -7 |
1995년 | 319,972 | 16.8 (#3) | 34 | -1 |
1999년 | 309,118 | 15.8 (#4) | 35 | +1 |
2003년 | 301,652 | 14.4 (#4) | 28 | -7 |
2007년 | 335,623 | 14.5 (#4) | 31 | +3 |
2011년 | 300,544 | 12.3 (#4) | 28 | -3 |
2015년 | 293,653 | 11.6 (#4) | 27 | -1 |
2019년 | 275,842 | 11.4 (#5) | 25 | -2 |
다음은 1971년부터 2019년까지 연방 선거에서 주별 기독교민주당(CVP/PDC) 득표율이다.[24]
주(州) | 1971 | 1975 | 1979 | 1983 | 1987 | 1991 | 1995 | 1999 | 2003 | 2007 | 2011 | 2015 | 2019 |
---|---|---|---|---|---|---|---|---|---|---|---|---|---|
스위스 | 20.3 | 21.1 | 21.3 | 20.2 | 19.6 | 18.0 | 16.8 | 15.9 | 14.4 | 14.5 | 12.3 | 11.6 | 11.4 |
취리히 | 9.5 | 9.4 | 9.7 | 9.1 | 7.1 | 5.9 | 4.9 | 5.1 | 5.4 | 7.6 | 5.0 | 4.2 | 4.4 |
베른 | 5.3 | 5.3 | 2.5 | 2.1 | 2.4 | 2.6 | 1.8 | 2.4 | 2.3 | 4.7 | 2.1 | 1.8 | 1.9 |
루체른 | 48.8 | 50.1 | 50.4 | 49.6 | 47.0 | 48.6 | 37.3 | 33.8 | 29.5 | 30.2 | 27.1 | 23.9 | 25.5 |
우리 | * | 18.6 | * | * | * | * | * | * | * | * | 26.8 | 39.2 | |
슈비츠 | 38.5 | 46.4 | 49.4 | 46.6 | 36.9 | 32.8 | 27.4 | 27.3 | 23.4 | 20.1 | 20.6 | 19.5 | 18.4 |
옵발덴 | 67.0 | 97.1 | 95.7 | 91.0 | 51.7 | 95.3 | 94.2 | * | 66.4 | 32.5 | * | * | 36.7 |
니트발덴 | 97.2 | 97.6 | 49.5 | 97.2 | 96.9 | 97.7 | 32.1 | * | * | * | * | * | 35.8 |
글라루스 | * | * | * | * | * | * | * | * | * | * | * | * | |
추크 | * | 39.4 | 34.1 | 39.9 | 34.2 | 34.2 | 27.1 | 26.4 | 22.9 | 23.3 | 24.3 | 26.4 | 23.8 |
프리부르 | 41.5 | 46.9 | 39.9 | 37.9 | 37.7 | 36.8 | 36.0 | 33.7 | 25.4 | 24.8 | 20.3 | 22.7 | 17.8 |
졸로투른 | 27.7 | 26.0 | 27.6 | 26.7 | 25.1 | 22.2 | 21.5 | 21.4 | 21.0 | 20.4 | 17.9 | 14.8 | 14.2 |
바젤-슈타트 | 11.2 | 12.1 | 13.9 | 9.9 | 10.0 | 10.4 | 9.7 | 8.6 | 6.6 | 7.4 | 6.5 | 6.4 | 4.6 |
바젤-란트샤프트 | 13.3 | 13.3 | 11.5 | 10.8 | 12.3 | 11.6 | 11.7 | 12.0 | 10.0 | 11.4 | 8.2 | 9.1 | 8.5 |
샤프하우젠 | 8.0 | * | * | 6.3 | * | * | * | * | 2.7 | * | 5.2 | * | 2.1 |
아펜첼-아우서로덴 | * | 14.1 | * | 14.5 | * | 16.7 | 9.5 | * | * | * | 10.6 | * | * |
아펜첼-이너로덴 | 96.1 | 98.3 | 97.2 | 95.6 | 91.8 | 98.7 | 85.4 | 73.5 | 69.2 | 84.6 | 76.1 | 76.3 | 61.3 |
장크트갈렌 | 44.0 | 43.3 | 44.1 | 40.8 | 39.4 | 35.8 | 31.0 | 26.2 | 22.2 | 21.4 | 20.3 | 16.6 | 18.8 |
그라우뷘덴 | 37.3 | 35.9 | 35.5 | 33.3 | 28.5 | 25.6 | 26.9 | 25.6 | 23.7 | 20.3 | 16.6 | 16.8 | 16.3 |
아르가우 | 20.0 | 20.6 | 22.5 | 21.5 | 18.9 | 14.5 | 14.2 | 16.3 | 15.6 | 13.5 | 10.6 | 8.6 | 9.9 |
투르가우 | 23.4 | 22.3 | 24.6 | 21.6 | 20.4 | 16.5 | 13.0 | 15.7 | 16.5 | 15.2 | 14.4 | 13.1 | 12.7 |
티치노 | 34.8 | 35.7 | 34.1 | 34.0 | 38.2 | 26.9 | 28.4 | 25.9 | 24.6 | 24.1 | 20.0 | 20.1 | 18.2 |
보 | 5.3 | 4.6 | 5.1 | 4.5 | 4.1 | 3.6 | 5.6 | 4.5 | 4.4 | 5.6 | 4.6 | 4.1 | 2.4 |
발레 | 61.5 | 59.7 | 58.8 | 57.5 | 58.7 | 54.3 | 54.8 | 51.4 | 47.9 | 44.9 | 39.9 | 39.8 | 34.8 |
뇌샤텔 | * | * | * | * | * | * | * | * | * | 3.3 | 3.5 | 3.6 | 4.2 |
제네바 | 13.8 | 14.7 | 14.0 | 12.3 | 14.6 | 14.5 | 13.4 | 14.1 | 11.8 | 9.7 | 9.8 | 12.1 | 7.7 |
쥐라 | 37.7 | 25.1 | 33.0 | 36.0 | 38.2 | 39.2 | 39.5 | 25.0 | 33.2 | 27.6 | 22.8 |
주석:
- "*" 표시는 해당 주에서 해당 정당이 투표에 참여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 쥐라주는 1979년까지 베른주의 일부였다.
4. 2. 참사원 (상원)
이름 | 재임 기간 |
---|---|
이반 리켄바허 Iwan Rickenbacherde | 1988년–1992년 |
레몽 로레탕 Raymond Loretan프랑스어 | 1992년–1997년 |
힐마르 게르네트 Hilmar Gernetde | 1997년–2001년 |
레토 나우제 Reto Nausede | 2001년–2008년 |
팀 프라이 Tim Freyde | 2009년–2012년 |
베아트리스 베르틀리 Béatrice Wertlide | 2012년–2018년 |
지안나 루지오 Gianna Luziode | 2018년–2020년 |
5. 역대 당 대표
2020년 당시 당 대표였던 게르하르트 피스터는 스위스 보수 민주당 당수 마르틴 란돌트와 당 합병을 논의했으며,[13][14] 2020년 11월 전당 투표를 통해 합병이 승인되었다.[16][17][18][19]
6. 평가 및 비판
스위스 기독교민주인민당은 전통적으로 중도 노선을 견지하며 스위스 정치 지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특히 사회 통합에 기여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스위스 국민당(SVP)과 같은 우파 정당이 세력을 확장함에 따라, 기독교민주인민당은 기존의 지지 기반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이러한 경향은 연방 선거 득표율 변화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난다. 1970년대에 20%를 상회하던 전국 득표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19년 연방 선거에서는 11.4%까지 하락했다.[24] 이처럼 지지층 이탈과 득표율 감소는 당의 정치적 영향력이 예전보다 약화되었다는 비판으로 이어졌다.
7. 같이 보기
- 중앙당 (스위스)
- 스위스 보수 민주당
- 스위스 국민당
- 기독교 민주주의
- 스위스의 정당 목록
- 매직 포뮬러 (스위스 정치)
참조
[1]
서적
The Swiss Confederation – A Brief Guide
https://web.archive.[...]
Federal Chancellery
2016-12-14
[2]
서적
Religion and the Western Welfare State—The Theoretical Contex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08-02
[3]
서적
Riding the populist wave: Europe's mainstream right in crisis
https://www.worldca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
[4]
트윗
Switzerland: Yesterday, CVP (EPP) and BDP (*) merged.
https://twitter.com/[...]
2021-01-02
[5]
서적
CVP: Von der katholischen Milieupartei zur Partei der bürgerlichen Mitte
Verlag Neue Zürcher Zeitung
[6]
서적
Policy-based Voting and the Type of Democracy
Oxford University Press
[7]
서적
Organizing Democratic Choice: Party Representation Over Time
Oxford University Press
[8]
서적
The Radical Right in Switzerland: Continuity and Change, 1945-2000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2013-07-19
[9]
서적
Freedom in the World 2011: The Annual Survey of Political Rights and Civil Libertie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11-12-01
[10]
웹사이트
Switzerland
http://www.parties-a[...]
2019-11-09
[11]
뉴스
Die CVP soll neu "Die Mitte" heissen
https://www.srf.ch/n[...]
SRF
2020-09-04
[12]
뉴스
Assemblée du PDC: «Le Centre peut atteindre 20% et se renforcer à l'exécutif en 2027»
https://www.lenouvel[...]
2020-09-05
[13]
뉴스
BDP will mit Statutenänderung Weg für Fusion ebnen
https://www.nau.ch/p[...]
Nau.ch
2020-09-05
[14]
뉴스
Martin Landolt und Gerhard Pfister bereiten BDP-CVP-Fusion vor
https://www.nau.ch/p[...]
Nau.ch
2020-05-28
[15]
뉴스
CVP soll neu "Die Mitte" heissen
https://telebasel.ch[...]
Telebasel
2020-09-04
[16]
웹사이트
CVP schliesst sich mit BDP zur "Die Mitte" zusammen
https://www.swissinf[...]
2020-11-28
[17]
웹사이트
BDP-Delegierte sagen Ja zum Zusammenschluss mit der CVP
https://www.suedosts[...]
2020-11-14
[18]
웹사이트
CVP und BDP sind ab 2021 «Die Mitte»
https://www.schweize[...]
2020-11-29
[19]
웹사이트
Historic day for Swiss Christian Democrats – Merger and Farewell to the "C"
https://www.kas.de/e[...]
2020-12-01
[20]
뉴스
"Die Mitte": CVP präsentiert neuen Namen und Logo
https://www.nau.ch/p[...]
2020-09-04
[21]
논문
Comparing Candidates and Citizens in the Ideological Space
Swiss Political Science Review
2010-10-30
[22]
웹사이트
Nationalrat 2007
http://www.politik-s[...]
[23]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24]
보고서
Nationalratswahlen: Kantonale Parteistärke (Kanton = 100%)
https://www.bfs.admi[...]
Swiss Federal Statistical Office
2019-11-29
[25]
간행물
Christian Democratic Party
2018-03-13
[26]
서적
The Swiss Confederation – a brief guide 2010
http://www.ch.ch/ebu[...]
Swiss Confederation
[27]
웹사이트
Parties and Elections in Europe: The database about parliamentary elections and political parties in Europe, by Wolfram Nordsieck
http://www.parties-a[...]
[28]
서적
Organizing Democratic Choice: Party Representation Over Time
Oxford University Press
[29]
서적
Freedom in the World 2011: The Annual Survey of Political Rights and Civil Libertie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11-12-01
[30]
트윗
Switzerland: Yesterday, CVP (EPP) and BDP (*) merged.
https://twitter.com/[...]
2021-01-02
[31]
웹사이트
Parties and Elections in Europe: The database about parliamentary elections and political parties in Europe, by Wolfram Nordsieck
http://www.parties-a[...]
[32]
서적
Religion and the Western Welfare State—The Theoretical Contex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08-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